Post

Git에서 CRLF 개행 문자 차이 해결법

Git에서 CRLF 개행 문자 차이 해결법

Windows에서는 Line Breaking으로 CR(Carriage-Return, \r)LF(Line Feed, \n)을 사용하고 UnixMac OS에서는 LF만 사용한다.
이로 인해서 실제 코드는 변경된게 없는데 소스의 CR/LF 때문에 변경으로 인식하여 Commit을 하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OS가 달라도 문제가 없도록 CRLF에 대한 설정을 해줘야 한다.

core.eol

git에서 Line Breaking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항목

  • native
    • 기본설정. 시스템에서 Line Breaking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른다. Windows에서는 CRLF를 사용하고 Linux, OS XLF만 사용
  • crlf
    • CRLFLine Breaking으로 사용
  • lf
    • LFLine Breaking으로 사용

설정방법

1
2
3
4
5
## 설정
git config --global core.eol native

## 설정 확인
git config --global --list | grep core.eol

core.autocrlf

git은 저장소 메타 데이타 디렉터리인 .git 폴더에 모든 이력 데이타를 갖고 있다. 이력 데이타는 key/value 형식의 데이타베이스이며 core.autocrlftext filegit object databasecheckin, checkout 할때 어떻게 처리할지를 설정하는 변수

  • false
    • 기본 설정. 파일에 CRLF를 썼든 LF를 썼든 git은 상관하지 않고 파일 그래도 checkin, checkout한다. 이 설정은 Line Breaking이 다른 OS에서는 text file이 변경되었다고 나오므로 위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true
    • text fileobject database에 넣기전에 CRLF를 LF로 변경
  • input
    • LFLine Breaking으로 사용

해결방법1 – autocrlf 설정 사용

OS별 CRLF 차이로 인한 문제를 막기 위해 OS별로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한다.

Windows

Windows에서는 CRLF를 사용하므로 저장소에서 가져올 때 LF를 CRLF로 변경하고 저장소로 보낼 때는 CRLFLF로 변경하도록 true로 설정

1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LINUX, MAC OS

리눅스, 맥, 유닉스는 LF만 사용하므로 input으로 설정

1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input

해결방법2 – .gitattributes 사용

git은 텍스트 파일의 속성을 .gitattributes 파일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CRLF 처리도 지정할 수 있다. .gitattributes 를 저장소에 커밋하면 다른 클라이언트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없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Auto detect text files and perform LF normalization
*        text=auto

*.cs     text diff=csharp
*.java   text diff=java
*.html   text diff=html
*.css    text
*.js     text
*.sql    text

*.csproj text merge=union
*.sln    text merge=union eol=crlf

*.docx   diff=astextplain
*.DOCX   diff=astextplain

# absolute paths are ok, as are globs
/**/postinst* text eol-lf

# paths that don't start with / are treated relative to the .gitattributes folder
relative/path/*.txt text eol-lf

** 만약 git clientegit을 사용하면 .gitattributes 를 읽지 못해 제대로 동작을 안 하므로 방법1의 autocrlf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참고주소

  • https://www.lesstif.com/pages/viewpage.action?pageId=20776404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