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윈도우에서 Redis 서비스로 설치하기

윈도우에서 Redis 서비스로 설치하기

윈도우에서 Redis 서비스로 설치

  1. DownLoad URL

    1
    
    https://github.com/dmajkic/redis/downloads
    
  2. 디렉토리 생성

    • 소스위치

      1
      
      c:\devTools\redis
      
    • 로그위치

      1
      
      c:\devTools\redis\log
      
    • DataBase 위치

      1
      
      c:\devTools\redis\db
      
    • 설정파일 위치

      1
      
      c:\devTools\redis\conf
      
  3. 설정파일 생성

    • 설정파일 생성(소스파일 폴더에 redis.conf 파일이 존재함)

      1
      
      c:\devToos\redis\conf\redis.conf
      
    • BIND 수정(접속할 때 사용할 IP)

      1
      
      bind 127.0.0.1
      
    • LOGFILE 위치 설정

      1
      
      c:\devTools\redis\log\redis.log
      
    • DIR 위치 설정(DataBase가 생성되는 위치)

      1
      
      c:\devTools\redis\db\
      
  4. 윈도우 서비스 실행 등록

    • 실행파일 다운로드

      1
      
      https://github.com/kcherenkov/redis-windows-service/downloads
      
    • 서비스 등록

      1
      
      sc create "REDIS-ST" binpath= "c:\devTools\redis\RedisService_1.1.exe c:\devTools\redis\conf\redis.conf" start= "auto" DisplayName= "REDIS"
      
    • 서비스 삭제

      1
      
      sc delete "REDIS-ST"
      

CLIENT 접속

1
c:\devTools\redis\redis-cli.exe -h ${redis-ip} -p ${redis-port}

Cluster 구성

  1. redis 설정파일 생성

    • redis-master.conf
    • redis-slave.conf
  2. redis-master.conf 편집

    • PORT 변경

      1
      
      7379
      
    • BIND 변경

      1
      
      127.0.0.1
      
    • LOGFILE 이름 변경

      1
      
      logfile /service/redis/log/redis_master.log
      
    • DIR 변경(DataBase가 생성되는 위치)

      1
      
      dir /service/redis/db/
      
    • DBFILENAME 이름 변경

      1
      
      dbfilename /service/redis/db/dump_master.rdb
      
    • SECURITY 섹션에서 requirepass 주석을 풀어주고 비밀번호를 설정

      1
      
      # requirepass ${password}
      
  3. redis-slave.conf 편집

    • PORT 변경

      1
      
      port 8379
      
    • BIND 변경

      1
      
      bind 127.0.0.1
      
    • LOGFILE 이름 변경

      1
      
      logfile /service/redis/log/redis_master.log
      
    • DIR 변경(DataBase가 생성되는 위치)

      1
      
      dir /service/redis/db/
      
    • DBFILENAME 이름 변경

      1
      
      dbfilename /service/redis/db/dump_master.rdb
      
    • SECURITY 섹션에서 requirepass 주석을 풀어주고 비밀번호를 설정

      1
      
      requirepass ${password}
      
    • REPLICATION 섹션에서slaveof 주석을 풀어주고 마스터의 접속정보를 설정

      1
      
      slaveof ${master-ip} ${master-port}
      
    • REPLICATION 섹션에서 masterauth 주석을 풀어주고 마스터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1
      
      masterauth ${master-password}
      
    • REPLICATION 섹션에서 repl-ping-slave-period 주석을 풀어주고 마스터와 싱크주기를 설정한다.

      1
      
      repl-ping-slave-period 10
      
    • REPLICATION 섹션에서 repl-timeout 주석을 풀어주고 마스터 연결시의 timeout을 설정한다.

      repl-ping-slave-period 보다는 커야된다

      1
      
      repl-timeout 60
      
  4. 윈도우 서비스 실행 등록

    • 마스터 서비스 등록

      1
      
      sc create "REDIS-MT" binpath= "c:\devTools\redis\RedisService_1.1.exe c:\devTools\redis\conf\redis.conf" start= "auto" DisplayName= "REDIS-MASTER"
      
    • 마스터 서비스 삭제

      1
      
      sc delete "REDIS-MT"
      
    • 슬레이브 서비스 등록

      1
      
      sc create "REDIS-SL" binpath= "c:\devTools\redis\RedisService_1.1.exe c:\devTools\redis\conf\redis.conf" start= "auto" DisplayName= "REDIS-SLAVE"
      
    • 슬레이브 서비스 삭제

      1
      
      sc delete "REDIS-SL"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