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로컬 DNS 설정방법

로컬 DNS 설정방법

웹 브라우져에서 웹 사이트에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이트의 도메인을 입력해서 접속을 합니다.

도메인은 해당 사이트의 실제 주소가 아니기 때문에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를 통해서 해당 사이트의 주소지(IP)를 확인해서 찾아 갑니다.

DNS를 찾는 순서

  1. 로컬 PC의 hosts 파일 확인
  2. DNS 서버 확인

이때 우리가 지정해 놓은 IP로 DNS를 지정해 놓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방법은 로컬 PC의 hosts파일을 수정을 하면 됩니다.

Hosts 파일 위치

  1. Windows
    •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2. MAC & LINUX
    • /etc/hosts

Hosts 설정 방법

  1. 로컬서버(아파치 또는 톰캣)를 통해서 웹서버를 구동

  2. 웹 브라우져에 웹서버가 실행되었는지 확인

  3. 설정하고자 하는 도메인을 hosts 파일에 입력

    1
    2
    3
    4
    5
    6
    
    # 기본설정되어 있는 정보
    127.0.0.1       localhost
    # 추가할 도메인 설정
    127.0.0.1       coolio.so
    # 서브 도메인 설정
    127.0.0.1       blog.coolio.so
    

이제 웹 브라우져에 http://coolio.so 또는 http://blog.coolio.so 를 입력하시면 현재 블로그가 아닌 로컬에 구축해 놓은 서버로 접속을 하실 수 있을 겁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